비전 및 목표 - 서울 학사안내
비전 및 목표
Ⅰ. 2024-2027 교육과정 비전 설계 – Vision 2030와의 정합성
1. 건학이념에 기반을 둔 인류를 위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학문 후속세대 양성
- 건학이념인 ‘사랑의 실천’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방안과 교양인 ∙ 전문인 ∙ 실용인 ∙ 세계인 ∙ 봉사인 양성이라는 교육목표를 반영한 창의적 학문 후속세대 양성 교육과정 전략 수립
- 비전 2030 「미션 1」 : 학생가치중심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형 인재양성’을 통해 미래성장동력 확보에 기여
- (핵심키워드) 전공 전문성,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4차산업혁명 소양
- (핵심수행과제)
① 전공 분야의 최신 동향을 반영한 전공 교과목의 현실화 및 내실화
② 학문 후속세대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육 확대
③ 광범위한 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 교육 확대
2. 사회가치창출을 위한 학문간 융복합 교육과정 개발
- 사회의 빠른 변화와 니즈를 반영하여 국제적 감각을 갖춘 교양인/실용인을 양성하기 위한 학문간 융복합 교육 과정 개발 및 확산
- 비전 2030 「미션 2」 : ‘유무형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영향력 있는 대학’ 달성을 위해 사회와의 연결성을 강조하는 실용적 교육과정 개발
- (핵심키워드) 융합전공, 사회문제 해결, 대학원 연구 연계
- (핵심수행과제)
① 학문간 화학적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 융합전공 확대
② 수업을 통한 산학협력 경험 제공 확대(IC-PBL, 실무능력 배양 과목) 및 창업 교육 강화
③ 가치창출 연구로의 자연스러운 연계가 가능한 각종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실 연계 교육 프로그램, 방학 중 연구실 인턴, 개별연구 등 확대)
3. 환경 변화와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대학 교육 혁신 선도
- 빠른 교육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필수 소양을 갖춘 실용적 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 혁신역량 강화 중심의 혁신적 교육방식 도입
- 비전 2030 「미션 3」 : ‘대학 가치 실현’을 위해 지속 가능성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반영한 혁신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핵심키워드) 혁신역량 강화, 지속가능 발전, 비대면 온라인
- (핵심수행과제)
①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 교수법(HY-LIVE, 버추얼 러닝 등 활용, 대규모 온라인 강의 및 학부멘토제 운영, 대학원생의 수업 설계 참여 등) 개발 및 확산
② 학문 후속 세대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학과간 공동 팀티칭 강의, JA 교원 활용 융복합 강의, 수업 간 교류 확대 등 신개념 교육법 개발
③ 세상의 지속가능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 프로그램 확대 및 비이공계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IT 교육 확대
④ Digital Fluency 능력 함양
[그림 1] 2024-2027 교육과정 비전과 한양대학교 Vision 2030의 정합성

[그림 2] 인재상과 한양대학교 핵심역량과의 연계성
Ⅱ. 2024-2027 교육과정 수요 및 배경
1. 대외적 요인
가. 사회·기술적 배경
전공 전문성(≒전공 역량), 4차산업혁명 소양을 갖춘 창의적·실용적 학문 후속세대 양성, 대학·연구·산업체를 모두 아우르는 연결성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가치 창출의 중요성 증대, 대학의 지속적인 교육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 개발을 위한 혁신적 교육방법 필요
나. 철학적 배경
대학이 어떻게 더 나은 세상으로의 발전에 기여할 것인지에 대해 교육하여야 함, 한양대학교의 Vision 2030과의 정합성 유지
2. 대내적 요인
가. 디지털 친화적 특성을 갖는 문·이과 통합 중등 교육과정 신입생 입학
나.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용적 인재 양성을 위한 전공능력 강화교육 필요
다. 한양대학교의 연구력 증대를 위한 연구 활성화 방안 필요
라. COVID-19로 인한 원격교육의 확대에 따라 보편화된 디지털 교육환경을 통한 교육전달체계 개선 필요
마. JA(Joint Appointment) 교육제도, 공동 팀티칭, IC-PBL 교육 등의 활성화에 따른 융·복합 교육과정 확대
3. 한양대학교 설문조사 결과
가. 「재학생」, 「졸업생」 설문조사 결과
ㆍ전공 심화 교육 실현 및 시대적/사회적 변화 반영 교육과정
ㆍ실무중심 교과목 확대 및 개설 필요
ㆍ기초지식/응용능력 함양 가능 실용적 융복합 교육
나. 「교수진」 설문조사 결과
ㆍ단위제 고도화 → 전공영역에 부여된 이수단위의 체계성 필요
ㆍ학과별 다양한 역량과 전공능력 반영 현실성 있는 교육
ㆍ학과 맞춤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과목의 확대
다. 「산업체」 설문조사 결과
ㆍ타학문과의 소통ㆍ협업이 가능한 인재를 기르는 융합교육
ㆍ현장실습/문제해결형 교육 수요 높음
ㆍ최신 산업 및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
Ⅲ. 2024-2027 교육과정 목표 및 방향
1. 교육과정 세부 목표
가. 전공교육 세부 목표
세부목표 1 | 한양대 단위제 고도화 |
---|---|
세부목표 2 | 전공 능력 설정 및 교육과정 반영을 통한 역량 교육 |
세부목표 3 | IC-PBL, 연구 참여 등 활용 실제적/실용적 교육과정 확보 |
세부목표 4 | 융합교육 및 다전공 활성화, 비교과활동 확대 |
나. 교양교육 세부 목표
세부목표 1 | SW역량 함양 및 미래인재육성을 위한 교양교육 강화 |
---|---|
세부목표 2 | 역량기반 융복합 교양교육 강화 |
세부목표 3 | 소통능력 강화를 위한 교양필수 교과목 개편 |
2. 전공 교육과정 개편 방향
가. 한양대 단위제 발전기
ㆍ2020-2023 전공교과목 단위제 도입을 통한 수직적 실용융합 커리큘럽 구축
ㆍ2024-2027 교과 난이도, 전공능력 고려 교과목 단위제 체계 재정비
[그림 3] 한양대 단위제 설계 개념도
나. 전공능력 설정을 통한 학생 역량 교육
ㆍ전공교과목별 전공능력/핵심역량 mapping
ㆍ전공교과목 단위제 기반 curriculum skills 구축
다. 학생들의 실질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확대
ㆍ학부생 연구참여 교과목 활성화(HY-UROP)
ㆍ캡스톤PBL, 연구중심/실무중심 IC-PBL 등을 통한 진학형, 실무형 인재 양성
라. 융합교육 및 다전공 활성화 정책
ㆍ학과별 트랙형(전공능력별) 교과과정을 마이크로, 부전공, 융합전공이 가능한 수준으로 개편하여 구성
→ 타학과와의 조합을 통한 융합전공, 학생 자율설계전공 도입
ㆍ마이크로전공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