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단위 정의 - 서울 학사안내
이수단위 정의
Ⅰ. 2024-2027 교육과정 이수 체계
Ⅱ. 2024-2027 교육과정 개괄
1. 이수구분
가. 전공영역 이수단위
교과목의 난이도, 교육방법, 이수순서에 따라 단위로 분류하여 학생이 이수순서에 맞게교과목을 이수함
<표 1> 단위제 이수단위 세부 설명
단 위 | 세 부 사 항 |
---|---|
100 기초 / 지식 (Foundation) |
○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What to learn?) |
- 대부분의 100단위 교과목은 향후 전교생들에게 개방되어 교양필수과목을 대체하거나, 단과대별(혹은 학과별) 상호교차수강(코드쉐어링)을 통해 전공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함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난이도로 설정 |
|
200 이해 / 비교 (Direction) |
○ 배운 지식을 어떻게 사용할까? (How to apply?) ○ 무슨 지식이 필요하지? (What knowledge?) ○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이 문제를 접근할까? (What to differ from others?) |
- 협업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는 정도의 난이도로 설정 - Adventure capstone 디자인 등 저학년 학생들도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의 문제를 제공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 대한 역량평가가 가능하여야 함 - 한양대의 SW Literacy (코딩 및 소프트웨어 활용능력), Data Literacy (데이터 활용능력) 교육성과를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교과목 구성 |
|
300 창의 / 창조 (Focus) |
○ 새로운 지식을 만들기 (Build up new knowledge) |
- 프로젝트 혹은 교수들의 coaching 세션에서 학생들이 Trial & Error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 - 지식전달은 최소화하고, 기존에 학습된 지식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도록 교과목 구성 - 기존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새로운 문제 해결이 가능한 수준의 설정이 필요함 |
|
400 실제 / 적용 (Synthesis) |
○ 실제 문제는 어떻게 풀 수 있을까? (What to do for real world problems?) |
- 스스로 문제를 찾거나, 연구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제를 제공하여,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난이도를 설정 - 학부기간에 배운 모든 지식을 동원하여 실제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을 학습하도록 교수자들이 coach 서비스를 제공 |
ㆍ각 단위내에 지식중심교과목과 IC-PBL등 활동중심수업을 중심으로 한 역량중심교과목으로 분류하여 운영
<표 2> 이수단위별 지식중심, 역량중심 교과목 운영
단 위 | 지식중심 교과목 | 역량중심 교과목( IC-PBL 중심 ) |
---|---|---|
100 (기초/지식) | 기초 (Basic) | 입문 ( Cornerstone ) |
200 (이해/비교) | 중급 (Intermediate) | |
300 (창의/창조) | 심화 (Advanced) | 요소 ( Milestone ) |
400 (실제/적용) | 전문 (Proficient) | 종합 ( Capstone ) |
나. 교양영역 교과목
1) 교양필수(공통)
학교가 전략적으로 지정하는 교과목으로, 우리대학 학생 전체가 이수해야 하는 필수과목임
* 말과글, 과학기술의철학적이해, 전문학술영어, 사랑의실천, 커리어개발Ⅰ, 커리어개발Ⅱ, 창의적컴퓨팅, 창의적프로그래밍,
인공지능과기계학습
2) 교양필수(계열)
단과대학 및 학과(부)별 공통으로 개설되는 교과목으로, 해당 대학(학과/부)에 소속된 학생들은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필수과목임
* 테크노경영학, 초급중국어1 등
3) 핵심교양
교양교육의 중핵을 이루는 다학제적 교과목으로서 학과별 교육과정 이외에 별도로 개설되는 과목임. 개별 학문을 넘어 통합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사회에 대한 복합적인 통찰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고전읽기 ∙ 글로벌언어와문화 ∙ 소프트웨어 ∙과학과기술 ∙ 미래산업과창업 ∙ 사회와세계∙ 인문과예술 7개 영역
2. 이수체계
기존 학년, 이수구분으로 운영되던 교육과정 이수체계를 교과목의 난이도, 교육방법, 이수순서에 따라 분류된 이수단위에 따른 이수체계로 개편,
다만 과거 교육과정 학생의 이수를 위해 이수구분 체계 유지
ㆍ 과거 교육과정의 전공기초(필수), 전공핵심, 전공심화를 100~400단위 교과목으로 분류하고 학생이 교과목을 순차적으로 이수하는 것을 권장함
ㆍ 교양은 100단위 부여를 기본 사항으로 하나 4차산업혁명 등 융합교육 또는 교과목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단위를 부여하여 운영 할 수 있음
3. 전공과목 전공능력(학생역량) 지정
ㆍ 교과목에 전공능력을 매칭하여 전공능력(역량)에 따른 교과 이수 안내 및 학생 역량 평가
ㆍ 전공능력에 부여한 단위별 curriculum skill, 6C 핵심역량 등을 고려하여 교과목 매칭
ㆍ 학생 전공능력 분석 및 평가를 위하여 균형있는 교과목 배분을 권장하며, 전공능력별 교과목 pool을 활용하여 마이크로전공이 가능한 수준으로 구성 하도록 함
<표 3> 학생역량 6C 정의
역 량 | 세 부 사 항 | |
---|---|---|
지식역량 (Content) |
1. 전공지식과 관련된 학문적 이슈 및 주제를 탐구한다. | |
2. 전공과 관련된 이론, 자료, 실증 데이터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가설을 인식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의 전공지식의 문제점을 확인한다. | ||
3. 해당 전공의 이론, 가설뿐만 아니라, 타 전공의 가설, 방법론 등과의 차이점을 탐구한다. | ||
소통(표현)역량 (Communication) |
1. 목적 지향적 표현방식을 사용한다. 수업에서 정보의 전달, 사고의 전개, 타인에 대한 설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
2.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말, 글, 비언어적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 ||
3. 다중언어, 문화 환경에서 표현할 수 있다. | ||
비판적사고 역량 (Critical Thinking) |
1. 상황에 맞는 적절하고 다양한 추론 방식을 사용한다. | |
2. 다양한 증거, 주장, 논제 가정들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한다. | ||
3. 전통적인 방식뿐 아니라 혁신적인 방식으로 익숙하지 않은 다양한 문제를 푼다. | ||
협업역량 (Collaboration) |
1. 다양한 구성원들과 효과적이고 성실하게 협력을 한다. | |
2. 공동 목적 달성을 위한 타협과 상보적 사고를 하기 위한 의지와 유연성을 가진다. | ||
3. 협업에 대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별 공헌의 차이를 평가하고 인정한다. | ||
창의역량 (Creativity) |
1. 다양한 창의적 아이디어 개발 기술을 사용한다. | |
2. 타인과 효과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전, 구현 토의한다. | ||
3. 새로운 생각들을 발전시켜서, 혁신적이고, 실제적이고 유용한 결과물을 도출한다. | ||
도전역량 (Challenge) |
1. 현재의 연구주제를 더 깊게 더 넓게 탐구한다. | |
2. 관련회사 및 연구실에서 인턴십 경험을 한다. | ||
3. 실제 문제를 풀려고 시도한다. |
4. 교양영역 교과목 이수체계
<표 4> 교양교과목 편성 기준
※ 경영대학은 커리어개발Ⅰ교과목을 커리어디자인1(2) 교과목으로 운영
※ 사랑의실천4 교과목은 교양필수로 운영하나 학생 필수 이수 과목에서는 면제하여 운영